본문 바로가기
경제로그

저PBR주, PBR뜻, K밸류업 국내PBR 수혜주 관련주

by 여마로드 2024. 2. 25.
반응형

미국과 일본 증시는 나날이 역대급 성장을 거두고 있고 한국과 중국 증시는 암울한 전망을 보이고 있는데,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계에서는 내일 K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기로 했다. 

 

국내 증권가에서는 주가순자산비율인 PBR이 낮은 저PBR주중에서 실적이 개선되는 관련주 종목들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주부터 저PBR주를 찾는데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오늘은 PBR뜻은 무엇인지? 국내 저PBR주 관련 기업은 어딘지 천천히 한번 알아보자! 

 


 

주가순자산비율 PBR이란?

PBR뜻은 Price to book ratio의 줄임말로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을 주가순자산비율(PBR)이라고 한다. 주당순자산은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 수치를 발행 주식수로 나누면 되는데,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반응형

가장 쉽게 설명하면 회사를 청산할 떄 주주가 받을 수 있는 회사 가치이며, PBR이 1배면 주가와 기업의 순자산이 같다는 뜻이고 PBR이 1배보다 높을 경우에는 회사 청산시 투자금 회수가 불가능하다. 반대로 PBR이 1배보다 낮을 경우 청산 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 

 

저PBR 뜻 

삼성생명기업실적분석표

위에서 말한 대로 PBR은 현재 주가가 적당한 가격인지 살펴보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PBR 1.0보다 낮으면 순자산 대비 주가가 낮은 편이며 주식 시장에서는 보통 0.6배 이하의 해당 주식을 저PBR 주가로 판단한다. 

 

한국거래소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PBR 1.0 이하 저PBR주는 총 540여 곳(56%, 코스닥 시장에서는 570여 곳(33%)이 있으며 정부의 기업 벨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로 저PBR주가 많은 유가증권시장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코스닥이 상대적으로 약세장을 기록하고 있다. 

 

저PBR주 찾기가 시작되면서 주가는 금융주, 지주사, 완성차, 공기업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저PBR 수혜주, 관련주

삼성생명주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서는 상장사 주가가 기업가치 보다 낮게 평가되는 현상을 극복하고, 시장 평가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해서 현재 저PBR 관련주가 굉장히 부각되고 있는데 PBR이 0.6배 이하라고 다 좋은 주식은 아니다. 

 

보통 저PBR주는 금융, 보험, 지주사, 화학, 에너지, 자동차 등등에 몰려있는데, 삼성생명은 한 달 사이 50% 가까이 올랐고 KB금융과 하나금융지주는 30~35% 상승률을 기록할 만큼 보험, 지주사가 지난주부터 엄청난 상승 기류를 타고 있다. 하지만 주가가 많이 올라있고, 발표 당일 저PBR 테마가 시들해지면서 단기 차익 실현으로 인한 물량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증권사 별로 하나증권은 한국전력, 강원랜드, 씨앤씨인터내셜널을 삼성증권에서는 현대 기아를 중심으로 자동차업종을 유안타 증권은 한국금융지주, 에이비엘바이오, 더블유게임즈를 추천 종목으로 제시했다. 

 


 

코리아 디스카운드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 외국인들과 개인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유입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저PBR 관련주도 이미 많이 오른 상태이고 또 지난해부터 이어진 초전도체나 총선으로 인한 테마주가 극성이라 어느 때보다 신중한 기준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