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로그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기간, 신고 방법, 신고 대상, 양도소득금액 확인, 양도소득세 계산, 절세 방법, 납부하기

by 여마로드 2024. 5. 6.
반응형

2024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기간 신고대상 절세 방법 납부 하기

 

5월에는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종합소득세까지 선물, 용돈, 세금 등등 돈이 정말 많이 나가는 달인데 거기에 미국 주식, 해외 주식을 하고 있다면 양도소득세 신고 및 납부까지 해야 할 수 있다.

오늘은 5월 1일부터 신고 가능한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신고 대상, 신고 기간, 양도소득금액 확인, 양도 소득세 계산,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납부세액 확인까지 미국 주식,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해 알아보자!


 

해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란 미국, 일본, 중국, 영국 등등 해외주식 증시 시장에 상장된 해외 법인 주식을 매매할 경우 발생되는 매매차익은 양도 소득으로 잡히게 되며, 양도 소득 기본공제 250만원 차감 후 22%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이다.

양도소득 - 양도소득기본공제 x 22% =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 대상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해외 법인 주식을 매매하여 발생되는 매매 차익, 양도 차익, 양도 차손은 소득세법 제118조 5조에 의거하여 자진신고납부 대상이다.

반응형

해외 주식,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예시

해외주식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는 이용하는 모든 증권사의 해외 수익을 합산해야 하며, 양도소득 - 양도소득기본공제 (250만원) x 22% (양도세율 20%, 지방세 2%)로 계산된다.

양도소득기본공제는 250만원으로 해외주식 총 수익이 250만원 이하일 경우 해외주식 미국주식 양도 소득세는 0원으로 세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된다. 홈택스 양도소득세 계산기를 통해 내가 납부해야 할 양도소득세는 얼마인지 확인해 보자! 

예1) 2023년 미래에셋증권 해외 주식 총수익 250만원 일 경우 양도소득세는 0원

예2) 2023년 미래에셋증권 해외 주식 수익 120만원, KB증권 수익 130만원 일 경우 양도소득세 0원

예3) 2023년 미래에셋증권 해외 주식 총수익 1500만원일 경우 양도소득세는 양도소득(1500만원)-양도소득기본소득공제(250만원) x 22%=275만원 발생된다.

예4) 2023년 미래에셋증권 해외 주식 수익 170만원, KB증권 해외 주식 수익 140만원, 삼성증권 해외 주식 수익 415만원일 경우

3개 증권사 합산 총 수익 725만 원으로 양도소득세는 양도소득(170+140+415만원)-양도소득기본소득공제(250만원) x 22%= 104만 5천원 발생된다.

홈택스 양도소득세 계산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해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절세방법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를 절세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젓이 손실이 난 주식은 같은 해에 팔아야 한다는 것이다.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는 1년의 수익과 손실을 합산해 양도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손실난 금액을 팔게 되면 양도차익이 줄어들어 세금을 절세할 수 있다. 

 

  • 손실난 주식은 같은 해에 팔아라
  • 양도소득기본공제 250만원을 이용해라
  • 수익률이 높은 경우 배우자 증여 후 판매

 

아마 해외 주식을 하는 사람들은 모두가 알겠지만, 양도소득 기본 공제가 250만원 되기 때문에 수익이 해당 금액에 가깝다면 주식을 두 개 연도로 분할하여 양도하면 세금을 절감할 수 있다. 

 

해외 주식 수익률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배우자에게 증여 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수익이 1억인 경우 해외 주식 양도 소득세는 2199만원정도 발생되는데, 배우자에게 6억 이내로 증여 후 양도하면 배우자의 취득가액이 되어 양도 소득세는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해당 조건에는 보유한 주식의 전후 2개월 종가가 매도가와 동일해야 한다)

 

해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납부 기간

2024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 기간은 5월 1일~5월 31일까지 자진신고 납부 해야 하며, 2024년 신고 납부하는 해외 주식은 2023년 1월 1일~12월 31일 매도 한 내역에 대한 신고이다.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는 거래일이 아닌 결제일 기준으로 미국 주식으로 보면 2023년 12월 26일, 27일까지 거래된 매매금액까지 2024년 양도소득세로 신고납부 하면 된다.

  • 2023년 1월 1일 ~ 12월 31일 해외주식 매도시
  • 2024년 5월 1일 ~ 5월 31일 양도소득세 신고납부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거래일 아닌 결제일 기준

 

해외 양도소득세 미신고 불성실 가산세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 기간인 5월 31일을 지나거나 미신고 시에는 불성실 가산세가 붙게 되는데, 과소 신고 시에는 10% 미신고 시에는 20%의 신고 불성실 가산세가 발생되고, 신고 후 미납인 납부 불성실 가산세는 미납부세액 x 미납일 수 x 0.03%가 발생된다.

  • 신고불성실 가산세 : 과소신고 10%, 무신고 20%
  • 납부불성실 가산세 : 미납부세액*미납일*0.03%


해외 미국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해외 양도소득세 신고는 이용하는 증권사 앱을 통해 무료 대행 서비스를 신청하거나, 온라인 홈택스 신청,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관할 세무서에서 직접 신고하면 된다.

 

  1. 주거래 증권사 앱 해외 양도소득세 신고 대행
  2. 온라인 홈텍스 해외 양도소득세 신고
  3. 주민등록거주지 세무서 해외 양도소득세 신고

 

현재 증권사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무료 신고기간은 대부분 끝나서, 홈택스를 이용해 해외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를 해야 하는데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니, 홈택스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확인 후 간편하게 신고, 납부하면 된다.

홈택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납부 방법 안내 링크



오늘은 해외 주식,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일, 양도소득세율, 신고 대상, 신고 기간, 절세 방법, 신고 대행 방법, 셀프신고 및 납부 방법, 미신고 시 가산세까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관련 된 내용을 정리해 봤다. 

 

매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신고하는 사람도 1년에 한 번이다 보니 가끔 깜빡할 때가 있는데, 본인 블로그나 별도의 메모장에 기록해 놓고 이맘때쯤 다시 한번 꺼내보는 걸 추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