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로그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발급 방법, 이용 방법, 19세 미만 자녀 미성년자 모바일 건강보험증 확인

by 여마로드 2024. 5. 15.
반응형

국민건강보험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이용 방법

 

5월 20일부터 병원, 의원, 약국 방문자들은 반드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건강보험증 등등 신분증을 지참하여야 진료를 받거나, 처방약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정책이 많이 알려지지 않아서 시행 초기 혼란이 예상되는데, 신분증을 지참하지 못할 경우 온라인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이용해 병원, 의원, 약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은 병의원 진료 시 본인 및 자녀의 신속한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이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건강보험증 예시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작한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며, 2023년 3월 14일부터 종이 건강보험증, 신분증을 대신해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신분증을 이용해 병원, 의원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은 건강보험증 불법사용을 금지하는 보안정책에 따라 화면을 캡처할 수 없으며, 반드시 스마트폰을 이용해 병원 진료 시 로그인 후 직접 보여줘야 한다.

반응형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하기 위해서는 아이폰은 앱스토어, 안드로이드는 구글스토어,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 어플을 다운 받아야 한다.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이용하면 병원, 의원, 약국에서 이용 가능하며, 건강검진이나 비대면 진료 서비스 등의 의료 서비스 이용 시 신속한 본인 확인이 이루어진다. 또 부모의 모바일 건강보험증으로 자녀의 병원 방문 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니 미리 미리 발급받아서 편하게 이용하시길 바라요!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안내 및 다운로드 방법


1. 모바일 건강보건증 앱 다운
2. 메인 화면 <개인 선택>
3. 언어 <한국어 선택>

모바일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인증 안내

 

4. 서비스 이용을 위한 최초 1회 본인인증
5. 카카오, 핸드폰 인증 등 본인인증 완료
6. 비밀번호 혹은 생체인증 설정

 

아이폰 앱스토어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삼성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모바일 건강보험증

 

건강보험증 본인확인 QR코드

 

모바일 건강보험증 QR코드를 이용해 병원, 의원에서 건강보험 자격, 본인 확인도 할 수 있는데, 현재는 일부 병의원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아마 5월 20일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더 많은 병의원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건강보험 QR 인증 시범 병의원 목록

  • 일산 병원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100
  • 미래 병원 : 대구 북구 신암로 55 미래메디타워
  • 이동욱 내과 의원 : 대구 남구 중앙대로 230
  • 위드 병원 : 대구 달서구 명덕로 23
  • 대구 삼선병원 : 대구 북구 칠곡중앙대로 448
  • 유니온 신경과의원 : 대구 동구 장등로 20
  • K마디 병원 : 대구 북구 팔달로 217
  • 힘센 병원 : 대구 남구 봉덕로 71
  • 참조은 산부인과의원 : 경북 경산시 경안로 204
  • 구미 현대병원 : 경북 구미시 신시로 54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에 5월 20일부터 병의원 방문 시 개인 신분 확인이 안 될 경우, 건강 보험 적용이 안되어 진료비가 10배 이상 나올 수도 있다고 하니 반드시 병의원, 약국 방문 시에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모바일 신분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등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을 지참하길 바란다. 

 

 

 

병원 진료시 신분증 필수, 5월부터 병의원 약국 방문시 신분증 잊지 마세요!

지금까지 병원, 의원 진료를 받으러 가면 신분증 확인 없이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 조회를 통해 진료를 받을 수 있었는데, 2024년 5월 20일부터는 병원, 의원, 약국 방문 시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

hola0829.tistory.com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조회하고 꼭 받으세요 (본인 부담 상환액 초과 병원비 돌려 받기, 건강보험

한 해 동안 근로소득이 발생한 근로자라면 해야 하는 연말 정산 시즌이다. 1년간 납부한 소득세사 최종 세액보다 많을 경우에는 환급을 받고, 소득세가 최종 세액보다 적을 경우 추가징수를 당

hola0829.tistory.com

반응형